키워드로 검색하세요 |
제목 | 과일과 채소의 차이점 | 등록일 | 2010-06-23 |
사람들이 식용으로 하는 열매.먹을 수 있는, 과실나무의 열매. 과실 |
과실(果實)이라고도 한다. 과육·과즙이 풍부하고 단맛이 많으며 향기가 좋다.
과일 |
|
신선한 상태로 부식(副食) 또는 간식에 이용되는 초본성의 재배식물. |
|
신선한 상태로 부식(副食) 또는 간식에 이용되는 초본성의 재배식물. 일반적으로 수분이 많으며 저장이 곤란한 것이 많다. 다만 산야에서 채집한 비재배식물, 즉 산채(山菜)는 채소에 포함되지 않는다. 한국에서 재배되고 있는 채소의 종류는 60여 가지로, 그 대부분이 문화의 교류에 따라 외국으로부터 들어왔다. 마늘 ·순무 ·무 ·배추 등은 중국을 통하여 들어왔고, 셀러리 ·결구상추 ·꽃양배추 ·피망 등은 조선 후기에 서양 사람들이 가지고 왔다.
【분류】 채소는 종류가 많으므로 이용부분, 식물의 자연분류법 또는 생태적 특성에 따라 분류한다.
⑴ 이용부분에 따른 분류:① 경엽채류(莖葉菜類):배추 ·양배추 ·상추 ·시금치 등과 같이 잎을 이용하는 것, 양파 ·마늘 등과 같이 잎이 저장기관으로 변형된 것, 꽃양배추와 같이 꽃망울을 이용하는 것, 아스파라거스 ·죽순과 같이 어린 줄기를 이용하는 것이 여기에 속한다. ② 근채류(根菜類):무 ·순무 ·당근 ·우엉 등과 같이 곧은 뿌리와 고구마 ·마 등과 같이 뿌리의 일부가 비대한 덩이뿌리[塊根]를 이용하는 것, 연근 ·감자 ·생강 등과 같이 땅속줄기[地下莖]가 발달한 것을 이용하는 것이 있다. ③ 과채류(果菜類):생식기관인 열매를 식용하는 채소들로서 오이 ·호박 ·참외 등의 박과(科)채소, 고추 ·토마토 ·가지 등의 가지과 채소, 완두 ·강낭콩 등의 콩과 채소와 이 밖에 딸기 ·옥수수 등이 이에 속한다.
⑵ 자연분류법에 의한 분류:같은 과(科)에 속하는 채소는 꽃 ·열매 ·종자 등의 모양과 성질이 비슷하며, 특히 병과 해충이 공통적인 것이 많으므로 이 분류 방법은 채종재배와 병충해 방제의 기초지식으로서 필요하다. 중요한 채소가 많이 들어 있는 과(科)로서는 백합과 ·명아주과 ·겨자과 ·콩과 ·미나리과 ·가지과 ·박과 ·국화과 등이다.
⑶ 생태적 특성에 의한 분류:비교적 서늘한 기후에서 잘 자라는 호냉성 채소와 고온에서 잘 자라는 호온성 채소로 나누며, 경엽채류와 대부분의 근채류는 호냉성 채소에, 고구마 ·마 ·토란 ·생강 등은 호온성 채소에 속한다.
【식품가치와 이용】 채소는 감자 ·고구마 등과 같이 녹말 함량이 많은 것도 있지만 대부분 수분이 80 % 이상이고 지방과 단백질의 함량도 매우 적다. 그러나 채소는 비타민 A, C 및 무기염류의 중요한 공급원인 알칼리성 식품으로서 신체의 발육과 건강의 유지에 없어서는 안 되는 식품이다. 식생활에서 부족되기 쉬운 무기염류는 칼슘과 철 등으로, 채소에는 이들이 많이 들어 있어 중요한 공급원이 된다. 그리고 곡류 ·생선류 ·고기류 등은 산성식품인 데 비하여 채소는 대부분이 알칼리성 식품이므로 혈액의 산성화를 막기 위해서도 충분한 양의 채소를 먹어야 한다. 그 밖에도 채소는 종류에 따라 독특한 맛과 향기가 있어 식욕을 증진시키며 채소에 많이 들어 있는 셀룰로오스(섬유소)는 소화를 돕는 효과가 있다.
|
삼양식품, 시리얼 시장 진출
실질적인 교육 통해 '행복동반자' 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