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로 검색하세요 |
제목 | 습진성 피부염의 특징은 가려움증 | 등록일 | 2010-05-22 |
가장 흔한 피부질환 중의 하나인 습진성 피부염의 특징은 가려움증이다. 습진성피부염은 급성과 만성으로 나누는데 급성기에는 물집, 홍반, 부종 등이 나타나고심한 경우 진물이 난다. 만성기에 이르면 피부가 두꺼워지고 때로는 비늘(인설)을 보인다.
외부요인에 의한 습진성 피부염에는 접촉피부염 등이 있고, 내부요인에 의한 습진성피부염에는 약물에 의한 습진성 피부염 등이 있다. 기타 원인 미상의 습진성 피부염에는아토피 피부염, 지루 피부염 등이 있다. 이 외에도 여러 종류의 습진들이 있지만 가장 대표적인 몇 가지에 대해서만 언급하고자 한다.
아토피 피부염
아토피 피부염은 대표적인 알레르기 피부질환으로 흔히 태열이라고 부르는 유아습진으로부터 시작된다. 대부분의 태열은 돌 무렵 흙을 밟을 나이가 되면 대개 좋아지지만어떤 아이들은 사춘기를 지나 어른이 되어서도 습진과 심한 가려움증으로 고생을 한다. 유아기 아토피 피부염은 생후2개월부터 2년 사이에 양볼에 가려움증이 있는 홍반으로발생하는데, 이 홍반에는 미세한 수포가 발생하고 이들이 터져서 습한 딱지를 형성하게 되며, 이들 병변은 머리, 목, 이마, 손목 그리고 팔과 다리로 퍼져 나가기도 한다.소아기 이후의 아토피 피부염은 팔꿈치 안쪽, 오금, 손목, 얼굴 및 목 주위에 유아기아토피 피부염보다 진물이 적고 보다 건조한 병변으로 나타나는데 가려우므로 긁게되고, 긁으면 피부가 두꺼워져 더욱 가려워지는 악순환을 반복하게 된다.
아토피 피부염을 악화시키는 원인들
접촉피부염
외부 물질과의 접촉에 의해서 발생하는 피부염을 일컫는다.
원발성 자극피부염
일정한 자극을 주었을 때 거의 모든 사람에게서 습진을 일으킬 수 있는 피부염을 말한다.
지루 피부염
피지선(기름샘)의 활동이 증가된 부위, 즉 머리, 눈썹, 눈꺼풀, 입술, 귀, 앞가슴 중앙부위,겨드랑이, 젖가슴 밑, 배꼽, 사타구니 및 엉덩이 사이의 주름부위 등에 발생하는 습진성피부염으로 원인은 확실히 밝혀져 있지 않다.
건성 습진
겨울철에 주로 노인에서 살갗이 건조한 정강이에 많이 발생하며, 소양증(가려움증)으로 시작하여 이차적으로 심한 습진이 야기 되기도 한다. 정강이에 많이 발생하는 이유는 지방(피지)의 분비가 적기 때문이며 특히 겨울철에 피부가 건조해 지므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목욕시 순한 비누를 사용하며 과도하게 때를 밀지 말고, 목욕 후에 보습제 등을 사용하면 도움이 된다.
습진의 일반적 치료
습진의 치료는 정확히 진단하고 원인별로 분류하여 각각에 적절한 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홍반과 부종이 심하며 물집 형성이 현저하여 진물이 흐르는 급성기에는 휴식이 필요하며 냉습포를 시행한다. 냉습포의 시행 방법은 거즈를 3∼4겹 포개 환부에덮고 생리 식염수나 소독된 물로 약간 흐를 정도로 적시는데, 냉습포는 하루에 3∼4회시행하는 것이 좋다. 냉습포를 시행하면 보통 수일 후 진물이나 부종이 감소하게 된다.
김정원(가톨릭의대 강남성모병원 피부과)
|
삼양식품, 시리얼 시장 진출
실질적인 교육 통해 '행복동반자' 거..